대한민국 대통령경호처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대한민국 대통령경호처는 대통령 및 그 가족, 대통령 당선인, 전직 대통령 등을 경호하는 기관이다. 1949년 경무대경찰서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대통령경호처로 운영되고 있다. 대통령경호처는 처장 산하에 여러 실·본부 및 소속기관을 두고 있으며, 경호 규범과 서약을 통해 임무 수행의 기준을 제시한다. 2023년 기준 예산은 총 1,163억 2,200만 원 규모이며, 베레타 PX4 스톰, HK MP7 등 다양한 화기를 사용한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경호기관 - 대한민국 대통령실 경호처
대한민국 대통령실 경호처는 헌법과 정부조직법에 따라 대통령실 소속으로 설치된 기관으로, 대통령을 비롯한 주요 인사에 대한 경호 업무를 수행하며, 특히 국가원수인 대통령의 안전 보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. - 경호기관 - 케식
케식은 몽골 제국 황제의 친위 부대이자 칸의 측근에서 정치를 보좌한 핵심 관료 집단으로, 칭기즈 칸이 1206년 '1만 케식' 제도를 확립하여 몽골 제국과 원나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, 그 흔적은 현대에까지 남아있다. - 대한민국 대통령경호처 - 이광노
이광노는 대한민국 육군 중장 예편 후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낸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, 5·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조사에 참여하고 정계 은퇴 후 보수 성향 단체에서 활동했다. - 대한민국 대통령경호처 - 이재전
이재전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제6군단 군단장, 대통령 경호실 차장을 역임했으며, 예비군 제도 제안 및 군인 복무 규율 작성에 참여하고 퇴역 후 대한성업공사 사장과 한자교육진흥회 회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군인, 기업인, 한자 부활 운동가이다. -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- 국무회의
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, 예산, 법률안, 외교,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, 대통령, 국무총리,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, 정례회의는 매주 1회,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. -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- 대한민국 고용노동부
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,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,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,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, 고용정책, 근로조건, 노사관계,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.
대한민국 대통령경호처 | |
---|---|
지도 정보 | |
기본 정보 | |
기관명 | 대통령경호처 |
로마자 표기 | Daetongryeong Gyeonghocheo |
한자 표기 | 大統領警護處 |
약칭 | 경호처, PSS |
설립일 | 1963년 |
설립 근거 | 「정부조직법」 §16① |
전신 | 대통령경호실, |
소속 | 대통령 |
소재지 |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2 대통령 관저 |
직원 수 | 691명 |
예산 | 세입: 6,700만 원, 세출: 1,163억 2,200만 원 |
모토 | 하나된 충성, 영원한 명예 |
웹사이트 | 대통령경호처 공식 웹사이트 |
조직 | |
산하 기관 | (별도 정보 없음) |
지도부 | |
처장 | 박종준 |
차장 | 김성훈 |
2. 소관 사무
대한민국 대통령경호처는 다음의 경호 대상에 대한 경호 업무를 수행한다.[17][23][24]
- 대한민국 대통령과 그 가족
- 대통령 당선인과 그 가족
- 퇴임 후 10년 이내의 전직 대통령과 그 배우자
- 대통령 권한대행과 그 배우자
- 대한민국을 방문하는 외국의 국가 원수 또는 행정수반과 그 배우자
- 그 밖에 경호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국내외 요인
3. 연혁
대한민국 대통령경호처는 1949년 2월 23일 창덕궁경찰서를 폐지하고 경무대경찰서를 설치하면서 시작되었다.[25] 1960년 청와대 경호경찰로 명칭이 변경되었고, 1961년에는 박정희를 밀착 경호하기 위한 경호부대가 창설되었다.[4]
1963년 12월 1일, 경무대경찰서를 폐지하고 대통령경호실을 설치하였다.[26] 같은 해 제157호 대통령경호처법이 통과되면서 홍종철 초대 처장[4] 지휘 아래 경무대 경찰청 소속으로 다시 대통령경호처(PSS)로 명칭이 변경되었다.[5] 그러나 1963년부터 1974년까지는 박종규가 대통령경호처를 이끌었다.[6] 1968년 북한 124군부대 소속 군인들이 청와대를 공격한 이후 대통령경호처의 책임이 증가하였다.[7][8]
1974년 육영수 여사 사망 이후, 대통령 경호를 위한 경호위원회와 경호통제부대 설치에 따라 대통령경호처는 군부와 여러 법 집행 기관에 대한 권한이 강화되었다.[9] 1979년 박정희 대통령 암살 이후 경호위원회와 경호통제부대가 폐지되었다. 1981년 대통령경호처 지침 개정[11]에 따라 전직 대통령과 그 가족에 대한 경호가 의무화되었다.[9]
1984년 5월 6일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이 서울을 방문했을 때 암살 시도가 있었으나, 대통령경호처는 밀착 경호에 참여했다.[11] 1989년 2월 1일 청남대 경호분견대가 설립되었다.[12] 1993년 4월 1일 테러 대응 부대로서 무궁화동사 부대가 창설되었다.[13] 1999년 3월 3일 대통령경호처 다목적 경호훈련센터가 설립되었다.[14]
2002년 FIFA 월드컵 기간 동안 대통령경호처는 청와대 월드컵 안전대책팀과 월드컵 경호·안전통제과를 설치하여 대한민국 내 안전을 강화하였다.[14] 2003년 4월 18일 청와대 경호 업무 관할권이 충청북도에 이관됨에 따라 대통령경호처의 청와대 경호 임무가 해제되었다.[15] 2005년 1월 1일 부산 APEC 경호안전통제반이 대통령경호처에 의해 설립되었고,[15] 3월 10일 대통령경호안전대책위원회가 법제화되었다.[15]
2008년 2월 29일 대통령실 경호처로 개편되었고,[27] 2013년 3월 23일 대통령경호실로 개편되었다.[28] 2017년 7월 26일 대통령경호처로 개편되었다.[29] 문재인 대통령은 대통령경호처장의 직급을 차관급으로 낮추고, 대통령 직속 독립 부서로 격하시켰지만, 영문 명칭에는 이러한 변화가 반영되지 않았다.[16]
4. 조직
대한민국 대통령경호처는 처장 산하에 기획관리실, 경호본부, 경비안전본부, 경호지원단, 감사관실을 둔다.[18] 소속기관으로 경호안전교육원을 둔다.[18]
4. 1. 경호 규범 및 서약
4. 1. 1. 규범
- 단결(Unity): 모든 구성원의 단결과 대통령에 대한 충실성은 보안 임무의 팀워크 중심적 특징을 반영한다.[19]
- 충성(Loyalty): 국가와 국민에 대한 보안 요원의 기본적인 정신 자세이다.[19]
- 영원(Eternity): 보안 임무는 자기 희생을 전제 조건으로 대통령과 함께 함으로써 영원한 명예를 추구한다.[19]
- 명예(Honor): 희생과 봉사를 바탕으로 한 보안 임무의 전문성과 품격이다.[19]
4. 1. 2. 서약
첫째, 우리는 임무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목숨을 바칠 것이다.[19]둘째, 우리는 정의롭고 진실된 행동을 할 것이다.[19]
셋째, 우리는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굳게 단결할 것이다.[19]
넷째, 우리는 공공의 평화를 목숨처럼 지킬 것이다.[19]
다섯째, 우리는 명예를 지키고 존엄성을 유지할 것이다.[19]
5. 정원
대한민국 대통령경호처에 두는 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.[20]
총계 | 691명 | |
---|---|---|
정무직 계 | 1명 | |
style="border-top:hidden; background:#EAECF0;" | | 처장 | 1명 |
colspan=3 style="background:#FFF;" | | ||
특정직 계 | 458명 | |
style="border-top:hidden; background:#EAECF0;" | | 차장 | 1명 |
style="border-top:hidden; background:#EAECF0;" | | 2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 | 245명 |
style="border-top:hidden; background:#EAECF0;" | | 6급 상당 이하 | 212명 |
colspan=3 style="background:#FFF;" | | ||
일반직 계 | 232명 | |
style="border-top:hidden; background:#EAECF0;" | | 6급 이하 | 232명 |
6. 재정
2023년 총수입·총지출 기준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.[21][22]
구분 | 세입예산 | 작년 대비 증감 |
---|---|---|
일반회계 | 6,700만 원 | -10.67% |
합계 | 6,700만 원 | -10.67% |
구분 | 세출예산 | 작년 대비 증감 | |
---|---|---|---|
일반회계 | 일반행정 | 1,163억 2,200만 원 | +19.92% |
합계 | 1,163억 2,200만 원 | +19.92% |
7. 사용 화기
대한민국 대통령경호처에서 사용하는 화기는 다음과 같다.
- 베레타 PX4 스톰
- HK MP7
- HK UMP
참조
[1]
웹사이트
문 대통령, 새 경호처장에 유연상 임명 예정
http://www.hani.co.k[...]
2020-07-29
[2]
웹사이트
Location
http://www.pss.go.kr[...]
2008-01-24
[3]
웹사이트
용산 국방부 2ㆍ5층서 첫 집무…`구중궁궐` 靑과 차별, 열린경호도
http://www.dt.co.kr/[...]
2022-05-26
[4]
웹사이트
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at GlobalSecurity.org
http://www.globalsec[...]
2008-01-24
[5]
웹사이트
Introduction to PSS
http://www.pss.go.kr[...]
2008-01-24
[6]
서적
The Park Chung Hee Era. The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
Harvard University
2011
[7]
웹사이트
History of Activities, The 3rd Republic
http://www.pss.go.kr[...]
2008-01-24
[8]
간행물
Scenes from an Unfinished War: Low-Intensity Conflict in Korea, 1966-1968
http://cgsc.leavenwo[...]
[9]
웹사이트
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at FAS.org
http://www.fas.org/i[...]
2008-01-24
[10]
웹사이트
History of Activities, the 4th Republic
http://www.pss.go.kr[...]
2008-01-24
[11]
웹사이트
History of Activities, the 5th Republic
http://www.pss.go.kr[...]
2008-01-24
[12]
웹사이트
History of Activities, the 6th Republic
http://www.pss.go.kr[...]
2008-01-24
[13]
웹사이트
History of Activities, Civilian Government
http://www.pss.go.kr[...]
2008-01-24
[14]
웹사이트
History of Activities, People's Government
http://www.pss.go.kr[...]
2008-01-24
[15]
웹사이트
History of Activities, Participatory Government
http://www.pss.go.kr[...]
2008-01-24
[16]
웹사이트
Presidential Security Service's history
http://www.pss.go.kr[...]
[17]
웹사이트
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REPUBLIC OF KOREA
http://eng.pss.go.kr[...]
2018-02-13
[18]
웹사이트
Organizations & Functions
http://www.pss.go.kr[...]
2008-01-24
[19]
웹사이트
Code & Pledge
http://www.pss.go.kr[...]
2008-01-24
[20]
법률
「대통령경호처와 그 소속기관 직제」 별표 1
[21]
웹인용
열린재정 > 재정연구분석 > 재정분석통계 > 예산편성현황(총수입)
https://www.openfisc[...]
2023-03-10
[22]
웹인용
열린재정 > 재정연구분석 > 재정분석통계 > 세목 예산편성현황(총지출)
https://www.openfisc[...]
2023-03-10
[23]
법률
본인의 의사에 반하지 않고 퇴임하는 경우로 한정한다.
[24]
법률
임기 만료 전에 퇴임하거나 재직 중 사망한 경우의 경호 기간은 5년으로 한다.
[25]
법률
대통령령 제59호
[26]
법률
법률 제1507호
[27]
법률
법률 제8852호
[28]
법률
법률 제11690호
[29]
법률
법률 제14839호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